맨위로가기

현대 RM1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M19는 현대 N 모델 양산 이후 모터스포츠 기술을 대거 적용하여 제작된 로드고잉 모델이다. 벨로스터 N TCR의 세타2 T-GDi 2.0 엔진과 변속기를 기반으로 튜닝되었으며, 최고출력 390ps, 최대 토크 48.4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벨로스터 N의 차체를 기반으로 전장과 전폭이 확대되었으며, 에어로다이나믹스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용 디자인의 범퍼, 펜더, 사이드 스커트, 리어 스포일러, 디퓨저 등이 적용되었다. 전륜에는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에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이 적용되었으며, 3단계 댐핑 압력 조절이 가능한 유압식 댐퍼가 장착되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전륜 6 피스톤, 후륜 4 피스톤 브레이크와 스포츠 ABS를 적용했고, 스티어링 시스템은 벨로스터 N의 R-MDPS와 벨로스터 N TCR의 스티어링 휠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셉트 카 - 푸조 오닉스
    푸조 오닉스는 푸조 디자인 센터에서 디자인한 콘셉트카로, 탄소 섬유와 구리 포일을 사용하고 V8 3.7L 엔진을 탑재하여 680마력의 출력을 내며 비디오 게임에도 등장한다.
  • 컨셉트 카 - 비전 T
    비전 T는 현대자동차의 콘셉트 SUV로, 미래지향적 디자인과 역동적인 이미지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 현대자동차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자동차 기업에 관한 - 세아트
    세아트는 스페인 정부와 은행, 피아트의 합작으로 1950년 설립되어 피아트 기술 지원으로 성장하다 폭스바겐 그룹 자회사가 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마토렐에 본사를 두고 고성능 브랜드 쿠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 자동차 기업에 관한 - 마쓰다
    마쓰다는 1920년 동양코르크공업으로 설립되어 3륜 트럭 생산을 시작, 로터리 엔진 기술을 통해 독자적인 입지를 구축했으며, 스카이액티브 기술과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현대 RM19
자동차 정보
이름현대 RM19
최고 출력390ps
엔진현대 세타2 T-GDi 2.0 기반 레이스 엔진
현대 RM19
현대 RM19
차대알루미늄 합금 모노코크
구동 방식후륜구동 미드쉽
생산 연도2019
제조사현대자동차
최대 토크48.4kg.m

2. RM16과의 차이점

RM16 이후에 등장한 RM19는 이전 RM 시리즈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가장 큰 변화는 현대자동차N 모델 양산과 TCR 레이스 활동을 통해 축적한 기술을 대폭 적용하여, 단순한 기술 테스트 차량을 넘어 실제 도로 주행이 가능한 '로드고잉(Road-going)' 모델로 개발되었다는 점이다.

이전 RM 시리즈는 주로 앞으로 양산될 자동차의 기능이나 구조를 미리 탑재하여 시험하는 역할을 했지만, RM19는 모터스포츠에서 검증된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예를 들어, 엔진과 변속기는 기존 현대 쏘나타(YF)의 세타 T-GDi 2.0 엔진 대신 현대 벨로스터 N TCR 레이스카에서 사용된 세타2 T-GDi 2.0 엔진과 변속기를 RM19의 컨셉에 맞게 조정한 것을 사용했다. 또한, 차체에 적용된 에어로 파츠 역시 현대 벨로스터 N TCR에서 성능이 입증된 부품들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변화는 RM19 이후의 RM 시리즈가 단순한 선행 기술 개발 단계를 넘어, 현대자동차가 미래에 선보이고자 하는 고성능 기술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차량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 1. 엔진 및 변속기

이전 RM 시리즈(RM16까지)는 쏘나타(YF)의 세타 T-GDi 2.0 엔진을 사용했지만, RM19는 벨로스터 N TCR 레이스카의 세타2 T-GDi 2.0 엔진과 변속기를 가져와 RM19의 컨셉에 맞게 튜닝하여 탑재했다.[2] 이는 현대자동차가 TCR 레이스 활동을 통해 얻은 기술을 적용한 결과이다.[2]

튜닝된 엔진은 최고출력 390ps, 최대토크 48.4kg.m의 성능을 낸다.[2] 양산차의 트윈 스크롤 터보차저 대신 싱글 스크롤 터보차저를 장착했으며, 엔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헤드 가스켓과 헤드 볼트의 소재를 강화하는 등 별도로 제작된 부품을 사용했다.[2]

2. 2. 에어로 파츠

벨로스터 N TCR을 통해 검증된 에어로 파츠들이 적용되었다. 에어로 다이나믹스 성능 향상을 위해 전용으로 디자인된 범퍼, 펜더, 사이드 스커트가 적용되었고, 리어 엔진의 흡기를 위한 C 필러부 인테이크와 리어 펜더 역시 RM19 전용으로 디자인되었다. 또한, 벨로스터 N TCR에서 가져온 대형 리어 스포일러와 리어 디퓨저를 장착했다. 이러한 에어로 다이나믹스 설계를 통해 RM19는 200km/h의 속도에서 190kg의 다운포스를 발생시킨다.[2]

3. 상세

RM16 이후 등장한 RM19는 현대자동차N 모델 양산 이후 시작한 레이스 활동(TCR)의 기술을 대폭 적용하여 만들어진 도로 주행용 모델로 변모했다. 이는 단순히 차후 양산될 기능 및 구조를 사전에 탑재하여 테스트하는 이전까지의 RM 시리즈와는 다르게, 모터스포츠에서 활약했던 현대자동차의 기술을 대거 투입한 결과물이다.

특히 벨로스터 N TCR에서 검증된 기술들이 적용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RM19 이후의 RM 시리즈가 단순한 선행 기술 개발 단계를 넘어, 현대자동차가 미래에 선보이고자 하는 기술과 성능을 보여주는 차량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 1. 파워트레인

이전 RM16 모델에 사용된 6세대 쏘나타(YF)의 세타 T-GDi 2.0 엔진 대신, 벨로스터 N TCR의 세타2 T-GDi 2.0 엔진과 변속기를 가져와 RM19의 컨셉에 맞게 튜닝하여 적용했다. 최고 출력은 390ps, 최대 토크는 48.4kg.m에 달한다. 이는 TCR 경주차에 사용되는 엔진을 기반으로 별도의 설정을 적용한 결과이다. 양산차의 트윈 스크롤 터보차저와 달리 싱글 스크롤 터보차저를 장착했으며, 엔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제작된 헤드 가스켓을 사용하고 헤드 볼트의 소재를 강화했다.[2]

3. 2. 섀시 및 서스펜션

차체는 벨로스터 N의 것을 기반으로 하되, 전장은 54mm, 전폭은 135mm 확대되었다. 에어로 다이나믹스 성능 향상을 위해 전용 디자인의 범퍼, 펜더, 사이드 스커트가 적용되었으며, 리어 엔진 냉각을 위한 C 필러 부분의 공기 흡입구와 리어 펜더도 RM19 전용으로 디자인되었다. 대형 리어 스포일러와 리어 디퓨저는 벨로스터 N TCR에서 가져왔으며, 이러한 설계를 통해 RM19는 시속 200km/h에서 190kg의 다운포스를 발생시킨다.

이전 RM16 모델이 전륜에 인휠 타입 더블위시본 서스펜션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RM19의 전륜 서스펜션은 양산차와 동일한 맥퍼슨 스트럿 방식이 적용되었다. 후륜 서스펜션은 미드십(MR) 구조를 고려하여 더블 위시본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후륜에는 305/30R20 타이어가 조합되어 향상된 성능을 뒷받침한다. 댐퍼는 댐핑 압력을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식이 적용되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레이스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륜 6 피스톤, 후륜 4 피스톤 캘리퍼를 적용했으며, 모터스포츠 환경에 맞춰 제어 기능을 튜닝한 스포츠 ABS가 탑재되었다. 스티어링 시스템은 벨로스터 N에 사용된 R-MDPS를 그대로 적용했고, 스티어링 휠은 벨로스터 N TCR의 것을 가져와 사용했다.[2]

3. 3. 브레이크 및 스티어링

브레이크 시스템은 레이스카에서 볼 수 있었던 전륜 6 피스톤, 후륜 4 피스톤의 브레이크를 적용했으며, 모터스포츠용으로 튜닝된 스포츠 ABS를 적용했다. 스티어링 시스템은 벨로스터 N의 R-MDPS를 그대로 사용했고, 스티어링 휠은 벨로스터 N TCR의 것을 적용했다.[2]

참조

[1] 웹인용 현대자동차, 선행 기술 테스트카 'RM19' 컨셉 업데이트 https://www.hankooki[...] 2020-01-29
[2] 웹인용 RM19, 서킷을 달리는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연구소 https://news.hmgjo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